교과목안내

3학년

3학년 학기별 교과목 안내로 학기, 과목번호, 학점/시수, 과목명, 교과목해설, 교과목해설(영문)에 관한 정보제공
학기 과목
번호
학점/
시수
과목명 영문명 교과목해설 교과목해설(영문)
1 5D364 3/3 글로벌
다문화
교육의실제
Case Stud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in
a Global
Context
글로벌 맥락에서 다문화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사례 중심으로 연구하는 수업이다. 특히 다문화교육을 앞서 실시한 국가를 중심으로 다문화 교육의 사회적 배경과 실제 교육 내용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수업은 학생들이 직접 해당 주제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수업을 통해 얻게 될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식과 인식은 향후 중등학교 현장에서 예비교사가 자신의 수업에 맞는 다문화교육을 실시하는데 주요한 자산으로 작용할 것이다.  This course aims to study some ca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global context. One or two countries will be picked up to study how they developed multicultral education curricula and why. The course includes the students' intensive research on the backgrou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s in each country. Through these case studies the students will gain the ability to implement their own multicultural instruction in a Korean secondary class which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milieu.
5J462 3/3 고급
영어작문
Advanced
English
Composition
고급 영어 작문 단계로서 학생들은 에세이의 주요 개념들을 익히는 한편 실제 에세이 쓰기를 연습한다. 아울러 중등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어 작문 지도법들을 탐색한다. This is an advanced course of composition designed to improve writing skill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paragraphs. Students wil also expl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English writing for secondary students.
5J463 3/3 디지털
리터러시와
창의융합
영어교육
Digital Literacy and Creative
Convergence
in Teaching
English
창의융합영어교육에 필요한 교수·학습자료들을 제작하여 활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멀티미디   어 툴과 프로그램 활용법을 익혀서 영어교육 학습현장에서 사용토록 한다. This course is to develop English competency, creative convergence instruction, and interdisciplinary teaching strategies of teacher candidates. The students learn how to use various multimedia and digital tools in English education.
5A936 3/3

#

영어교과
교육론

English
Teaching Methodology
영어교육과 관련된 여러 이론을 비교 분석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영어교육 현실에 알맞은 영어교육방법 및 기술을 개발하도록 한다.  This course deals with a comprehensive survey of basic concepts, theories and practices in order to develope efficient methods and techniques in the English classroom.
5G286 3/3

영어교수법

English
Teaching
Approaches
and Methods
본 교과목은 주요 외국어 교수 방법의 역사적인 발전과정을 기반으로 외국어로서 영어를 가르치는 효과적인 기법과 원리들을 다룬다.  This course explores effective techniques and principl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to non-native speakers, drawing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rominent approaches and methods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45391 3/3 *
영어
음성음운론
English
Phonetics
and
Phonology
조음음성학적인 관점에서 영어분절음들의 체계와 구조를 이해하여 영어 발음연습을 한다. 이와 아울러 영어발음과 관련되는 영어의 여러 음운현상도 체계적으로 살펴본다. To let the students practice the English pronunci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English sound system in the perspective of articulatory phonetics, and to make them study the English phonological processes related to the English pronunciations.
2 5G285 3/3 영어
교육과정
및 평가
English
Curriculum & Evaluation
본 교과목은 영어과의 교육과정 및 평가를 다룬다. 먼저 교육과정 개론부터 시작하여 중등교육현장의 2015/2022 개정교육과정, 영어과의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하여 알아본 뒤, 영어과의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 또한 모두 접하도록 한다. This course helps teacher candidates understand how secondary English curricular content and evaluation are implemented by examining the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5J464 3/3  영미시지도법 Teaching
Methods for
British and
American
Poetry
중등교육현장에서 학생들과 함께 읽고 감상할 수 있는 비교적 쉬운 시편들을 선정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을 연구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British and American poems in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classes.
5D736 3/3 #
영어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English Teaching Materials Techniques and Teaching Methods 영어교육의 제이론 및 방법에 대한 지식을 실제 교실 현장에서 적응할 줄 하는 기술을 훈련한다.  This course deals with English teaching materials, techniques and procedures. Students will focus on English teaching practices in the classrooms. 
54947 3/3 영어
단편소설
지도법
Teaching Method for English Short Stories 영어권 문화에서 뽑은 다양한 단편들을 비판적으로 감상하고 이를 중등 영어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구안한다. Critical appreciation of short stories selected from a global point of view and exploration of proper teaching methods for secondary EFL students. 
5C716 3/3 영어의미론 English
Semantics
의미의  정의에 따른 다양한 의미이론을 소개하고 언어학적 의미론의 주제와 연구방법을 논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various theories of linguistic meaning, including formal semantics, truth-conditional semantics, model-theoretic semantics, and possible worlds semantics. Students will learn about major topics of semantics and the scientific methods for studying them.

(* : 전공필수 / # : 교과교육)